브로셔웨어(brochureware)
브로셔웨어는 종이 브로셔처럼 간단한 회사소개와 제품소개 수준의 단순한 웹사이트를 말합니다. 팜플렛 내용을 그대로 웹사이트에 옮겼다는 의미에서 팜플렛웨어라고도 부릅니다. 인터넷이 도입 초기에는 회사가 브로셔웨어 형태의 웹사이트를 갖고 있다는 사실만으로 만족했으나 현재 웹사이트는 멀티미디어 기술이 활용돼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온라인 마케팅을 제대로 이용하지 [...]
브로셔웨어는 종이 브로셔처럼 간단한 회사소개와 제품소개 수준의 단순한 웹사이트를 말합니다. 팜플렛 내용을 그대로 웹사이트에 옮겼다는 의미에서 팜플렛웨어라고도 부릅니다. 인터넷이 도입 초기에는 회사가 브로셔웨어 형태의 웹사이트를 갖고 있다는 사실만으로 만족했으나 현재 웹사이트는 멀티미디어 기술이 활용돼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온라인 마케팅을 제대로 이용하지 [...]
페이지에는 글(post)에 있는 세가지 개념이 없습니다. 카테고리, 태그, 시간이 그것입니다. 그와 반대로 글에는 없는 세가지 가 있는데 이것이 페이지 속성 메타 박스 안에 있는 상위,순서,템플릿(테마에 따라 안보이기도 합니다)입니다. 1)템플릿 워드프레스 아바다 테마의 페이지 속성중 '템플릿' 페이지 속성중에서 가장 강력한 기능입니다. [...]
글 형식 이란? 글형식(포스트포맷)은 워드프레스 3.1에서 소개된 테마를 위한 기능으로, 글(포스트)이 보여질 때 테마에 의해서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메타 정보이다. 새로운 글을 작성할때 편집창의 오른쪽 '공개하기' 모듈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만약 보이지 않을 경우 오른쪽 상단의 '화면옵션'탭을 열고 [...]
스크롤시 시차를 이용해서 이미지가 입체적으로 보여지는 효과 (아래 이미지 참조) Parallax
웹사이트를 만들고 운영하면서 방문객이 들어오는 현황을 추적할수 있다. 그 중 대표적인 방법이 구글이 제공한는 분석도구를 사용하는 것이다. 구글 애널리틱스 설명페이지 방문 기본 사용방법은 구글 애널리틱스에 계정을 등록한후 내 웹사이트도메인을 등록하면 아래와 같이 생긴 고유추적코드를 발급해 준다. [crayon-650c5547e16ca510823557/] 발급된 코드를 나의 [...]
웹 페이지가 소셜(페이스북,트위터,핀터레스트 등)에서 보여질때 자연스럽게(해당 소셜로 직접글을 쓴것처럼) 보여질수 있도록 소셜이 원하는 데이터를 웹페이지의 헤더 메타 태그 안에 입력해 넣는 형식(프로토콜) [crayon-650c5547e1ce3739112031/] 위와 같이 표기 되며 실제 적용된 그림은 아래와 같습니다. wpbox.kr 의 "구글블랙리스트" 라는 글의 open [...]
모든 html 요소들은 박스로서 간주될수 있습니다. CSS (Cascading Style Sheets)에서 박스 모델(box model)은 디자인과 레이아웃을 말합니다. 하나의 태그로 시작된 내용들은 닫힘태그가 나타날때 까지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데... 이 컨텐츠를 둘러싼 공간이 상자와 같은 모양이라는 뜻입니다. 박스 모델은 마진(Margin), 보더(Border-테두리), 패딩(Padding), 내용(Content)으로 [...]
Cross Sells 는우커머스플러그인 사용시 나오는 단어 이고, Up Sells 와 동시에 비교되며 사용되는 단어이다. Cross Sells 는 어떤 상품을 구매하고자 할때, 해당상품과 같이 사면 좋은 상품을 제시하는것이며, 장바구니 화면에 나타난다. 예를 들면 해당제품의 소모품류나 악세사리 같은것을 제시할때 좋다. Up Sells [...]
Up Sells 는우커머스플러그인 사용시 나오는 단어 이고, Cross Sells 와 동시에 비교되며 사용되는 단어이다. 어떤 상품을 등록하고, 그 상품의 상세 페이지 아래 부분에 이 상품보다 품질면에서 더 좋은 상품을 슬쩍 제시하는 방법이다. 물론, 가격은 더 비싸다. 같은 성질의 것이지만 품질과 [...]
워드프레스안에서 종종 만나게 되는 단어중 하나가 이 단어이다. 우리말로 하면 '특징,특색' 정도가 되는데... 워드프레스 에서도 같은 성격으로 쓰인다. 글이나 페이지를 작성할때 편집창 오른쪽 아래에 있는 Featured Image (특성이미지 라고 해석되어있다)는 작성하는 글이나 페이지의 대표 이미지를 설정하는 섹션이다. 해당글을 작성하고, 그 [...]
이미지나 동영상, 문서 등을 나의 호스팅에 올려 놓고 웹사이트에 표시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사이트에 있는 것을 링크를 연결해서 나의 웹사이트에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유튜브, 비메오, 플리커 등에서 주소를 연결해 끌어오는 것등이 해당된다. Hotlinking 되어진 웹사이트는 다른 사이트의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해 [...]
숏코드( Shortcode )는 매크로언어다.(프로그래밍 언어의 명령의 일종.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의 복수 명령으로 치환됨) 약속한 형식대로 표기하면, 웹사이트 전면에 보여질때는 다른 형식으로 바뀌어서 보여지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어떤 페이지들에 " 오늘은 글을 쓰기 정말 좋은날씨였습니다. 그래서 제가 정말 기분이 좋았습니다. 그래서 [...]
워드프레스는 일정한 프로세스에 의해서 편집하던 글을 저장함 으로써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게 하는 리비전이라는 훌륭한 도구를 제공합니다. * 글작성시(포스트,페이지,포트폴리오등) Save Draft나 Publish을 누르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저장글(작성중인 글의 백업판)이 있는데 이것이 리비젼 입니다.(처음 눌렀을 때는 없고 두번째 눌렀을때 부터 생성됩니다.-리비젼은 현재의 [...]
출처 : Avada.KR 택소노미는 비슷한 항목들을 모아서 그룹화 하는 방법입니다. 워드프레스에서 '포스트'에 글쓰기를 할때 제공되는 기본분류법(그룹화 하는 방법=택소노미)이 두가지 있습니다. 카테고리와 태그 입니다. 서로 다른 종인것 같지만, 사실은 두개의 성질은 거의 비슷합니다. 카테고리를 한번 만들어 보겠습니다. 음반을 분류해서 소개하는 [...]
출처 : Avada.KR 워드프레스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posttype 이외의 새로운 posttype을 custom posttype 이라 합니다. 위의 그림은 서로 다른 테마를 적용한 후의 맨 초기 화면 입니다. 왼쪽은 기본 테마인 2014테마이고 오른쪽은 유료테마인 santone 테마의 적용한 것입니다. 서로 다른점이 [...]
택소노미(taxonomy) 는 글자 그대로 taxonomy(분류)를 하기 위한 수단입니다. 기본 택소노미에는 category와 tag가 있습니다. link category 가 더 있지만... 현재 버전 어드민 창에는 보이지 않고 필요할때는 불러줘야 합니다. nav_menu 라는 택소노미가 더 있지만 menu 생성시에 자동으로 생성하는 택소노미 이므로 사용자가 관여할 [...]
워드프레스는 글을 작성하여 웹을 통해 이것들을 모아서, 정리하고, 분류하고, 디자인하고, 펼쳐 보이는데... 기본적으로 두가지의 분류 방법을 사용합니다. 바로 포스트 타입(post type)과 택소노미(taxonomy) 입니다. 포스트 타입 은 글현재 글 작성자가 글을 작성하는 방법이 되는데.. 워드프레스에는 기본적으로 다섯가지(사실 더많습니다만.. 정리해서)의 post type이 정의되어 [...]
출처 : Avada.KR 워드프레스는 사이트의 겉모습은 템플릿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템플릿 (template) : 형판 (무언가를 여러개 같은모양으로 찍어내는 틀) 이죠. 글자 그대로 입니다. 형판을 만들어 놓고 필요한 순간에 필요한 형판을 꺼내서 찍어내는거죠. 우리의 워드프레스 파일 중에는 테마 폴더가 있고, (예를들어 2013테마,2014테마 [...]
출처 : Avada.KR 워드프레스를 설치하고, 기본설치안에 들어있는 테마 중에 2012테마를 선택해서 사이트를 꾸미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사용하다보니... 여기저기 마음에 안드는것들이 보입니다. 조금씩만 바꿔주면 될거 같은데..... 또는 필요한 템플릿파일이 있는데.... (예를들어 특정 카테고리에만 다른 템플릿파일을 쓰고 싶은데.. 내가 선택한 2012테마에는 없어서 [...]
하나(1) , 더 높은, 초월한 이라는 의미의 이단어는 어떤 문서나 글의 근본 목적(정보전달)에 앞서서( 생겨날때부터 가지거나 붙어있는) 이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Meta Tag (메타 태그) : 웹 문서의 head 태그 안에 입력하는 전체 문서에 관한 정보를 정의한 데이터를 말한다. 외부로 보여지지는 [...]
워드프레스에서 '페이지'라는 단어는 두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브라우저에 보여지는 웹사이트의 특정화면(특정 문서 document)을 웹 페이지 줄여서 페이지 라고한다. 예) CONTACT 페이지, ABUOT US 페이지 등 기본 글쓰기 방법중 하나인 '페이지' - 커스텀 포스트 타입이 'page' - 로 작성된 문서를 페이지 라고한다. [...]
인터넷상에서 토론이나 정보교류를 목적으로 공개된 글들이 모여있는 사이트나 글모음 화면을 블로그라고 한다. 워드프레스에서는 post로 작성된 글들을 시간의 역순으로 나열해서 모아 보여주는 페이지를 blog 라 말하고, 최초 설치 후 보여지는 메인 화면이 blog 페이지다.
카테고리, 태그 , 저자, 날짜 등의 분류로 해당하는 글 모음을 보여주는 화면을 Archive 라고 한다. 만약 하나의 웹사이트에 포스트(글쓰기 방식중 글(post)로 쓴 글)가 10개의 카테고리 각각 10개씩 100개의 글이 있다면, 이 100개의 글이 카테고리나 태그의 구분없이 시간의 역순으로 나열되어 있는 [...]
워드프레스는 기본적으로 블로그를 작성하는 CMS (컨텐츠 관리 도구)이다. 그런데 플러그인의 확장을 통해서 여러가지 다양한 기능들을 구현할수 있다. 그 중 한가지가 쇼핑몰이고, 워드프레스에 가장 대표적인 온라인 상점 플러그인이 WooCommerce ( 우커머스 )이다. 기본플러그인은 무료로 배포되고, 다양한 확장 유료 플러그인이 존재한다. 2015년 [...]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를 뜻한다. 주로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웹 [...]
Social Link ( 소셜 링크 )는 자신의 웹사이트 내에 같은 목적을 가진 소셜 계정을 연결하는 링크를 만들어 넣은것이다. 예를 들면 wpbox.kr 웹사이트에 페이스북 wpbox 페이지로 갈수 있는 링크를 만들어 넣는것이다.
Social Share ( 소셜 공유 )는 글(포스트),페이지,우커머스(쇼핑몰 플러그인) 상품페이지(프로덕트),그외 커스텀 포스트타입의 글들을 페이스북,트위터,구글 플러스 등 소셜 계정을 이용해서 글을 공유(복사해서 소셜계정의 사용자이름으로 등록)하는 것. 페이스북에 공유하는 경우 해당 글 속에 있는 이미지 중에서 대표 이미지를 선택할수도 있다. 등록된 이미지가 마음에 [...]
CSS 는 Cascading Style Sheets 의 약자이다. CSS 는 html 요소들이 웹사이트에서 어떻게 보여질 것인가를 정의하는 것이다. 보통 style.css 파일 안에 각종 html 요소들에 관한 css를 정의 해 놓고, 웹사이트가 작동할때 이 파일을 불러오면서 활용한다. 아래의 문장은 p Tag 를 [...]
웹사이트 전면에 보여지는 모든 Html 요소들은 박스단위로 간주되고(네모모양의 공간을 차지한다), 그 박스들은 모두 보더(경계)를 갖는다. 이 경계를 표시할때 박스의 네 모서리를 둥글게 처리할수 있는데 Border Radius 는 이 둥글기 정도를 나타내는 말이다.
배치라는 뜻 웹사이트를 만들때 프론트 엔드 에서 보여지는 모양을 정의 할때 많이 사용된다. 보통 박스타입(웹사이트의 컨텐츠 영역을 제외한 좌/우 나머지는 배경처리 또는 라인으로 구획처리)인지 와이드 타입(박스타입에서 사용하는 구분이 없이 전체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느낌으로 처리)인지, 아니면 사이드바의 위치를 어디에 넣을 것인지, [...]
외모,겉모습 이란 단어 답게 웹사이트가 프론트엔드(사이트 전면)에서 보여지는 것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워드프레스 관리자 화면에서는 이 버튼이 테마,위젯,메뉴등 을 관리하는데 사용되고, 테마옵션에 나올때는 그 테마가 제공하는 사이트 전면에 관한 다양한 옵션을 정의 할때 사용된다.
포스트가 나열되는 화면에서 포스트의 내용을 요약해서 보여주는 기능가운데 하나. 본문을 작성하면서 필요한 경우에 사용하기 위해서 <!--more--> 표기를 넣어 작성하는것이 티저기능이다. 이 기능을 이용하여 글을 작성하면, 요약문을 보여주는 화면에서 이 글의 Excerpt 필드가 비어있을경우 이 티저처리된 곳까지 표기가 된다. 그 이후는 [...]
포스트가 나열되는 화면에서 포스트의 내용을 요약해서 보여주는 기능가운데 하나. Excerpt ( 요약 )은 특히 선택적으로 해당 포스트의 글을 간결하게 설명하는 글이다. post 를 작성할때 에디터의 아랫부분에 요약문을 넣는 필드가 있고, 여기에 따로 입력한다. 에디터 화면에서 보이지 않을경우 상단 오른쪽의 '화면옵션'을 [...]
워드프레스 유료테마의 경우, 그 테마를 이용해서 만들어놓은 가상의 포스트, 페이지, 테마옵션설정등이 있는경우가 많다. 테마의 능력이 다양할수록 여러가지 모양과 기능의 예제사이트가 만들어 질수 있고, 이 예제 사이트가 보여주고 있는 컨텐츠 덩어리(글,이미지, 옵션세팅등)를 옮길때 사용하는 파일이 '더미파일'이다. 이 더미파일을 나의 웹사이트에 워드프레스와 [...]
플러그인은 워드프레스의 기능을 확장하거나 추가 하는데 사용하는 방법이다. 워드프레스 코어파일은 확장을 위한 유연성은 좋지만 코드가 방대해 지는 것을 최소화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있다. 그래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이 그다지 많지 않다. 그러나 웹사인트를 만드는 각각의 사용자들은 다양한 기능과 특징을 원하고, 이러한 요구사항을 [...]
테마는 단순한 웹사이트의 겉모습을 의미하는 "Skin"을 의미 할 수 있다. 그러나 워드프레스 테마는 단순한 디자인의 변화를 의미하는 스킨기능에 그 내부의 컨텐츠들을 이용해서 프레젠테이션하는 기능을 추가로 더해 준다. 테마는 웹사이트 전체를 아우르는 일관된 디자인으로 제작된 '템플릿파일'의 모음으로 되어있다. 워드프레스는 이 테마의 [...]
워드프레스 코어파일이나 플러그인/테마 등이 다른 테마/플러그인 또는 브라우저들과 잘 융합하여 작동하는지 여부를 기술한다. 아래 이미지는 워드프레스 유료테마를 구매할 때 방문할수 있는 ThemeForest 라는 사이트 에서 The 7 테마를 선택했을때 보여지는 화면이다. 사이드 바의 내부에 호환성 여부가 기술되어 있다. 붉은색 박스 [...]
워드프레스나 테마, 플러그 인등이 제대로 동작하기 위한 요구사항을 말한다. 보통 워드프레스가 동작하기위한 호스팅 서버의 PHP,MYSQL버전이나, 테마/플러그인이 동작하기위한 워드프레스 버전, 그 외 테마버전, 플러그인 버전 등을 기술해 준다. 워드프레스 공식 사이트의 Requirements 페이지
클라이언트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server computer) 또는 프로그램(server program)을 말한다. 서버는 사용자(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하여 서비스를 하는데 이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이라고 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을 상호 협력적인 환경에서 운용하는 분산처리 형태를 의미한다. 즉, 서비스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와 [...]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클라이언트(client, 문화어: 의뢰기)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라는 다른 컴퓨터 시스템 상의 원격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이나 서비스를 말한다.구체적으로 말하면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에서 서버에서 그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요청하고, 또는 서비스 요청을 위해 필요 인자를 서버가 원하는 방식에 맞게 [...]
워드프레스를 맨처음 설치하고 포스트(글)나 페이지를 작성하면, 각각의 화면마다 고유 주소가 생성됩니다. 외부에서 누군가가 그 글을 검색하여 링크 버튼을 눌렀을때 그 글의 고유한 주소로 따라오게 되어 지는거죠. 이 고유 주소를 premanent(영구적인,영원한)+link = permalink 라고 부릅니다.웹브라우저의 주소창에 이런형식으로 표기 됩니다. [crayon-650c5547e37b7280759365/] [...]
하이퍼텍스트 액세스(hypertext access)의 준말로, 웹 서버 구성의 분산된 관리를 위해, 여러 웹 서버가 지원하는 디렉터리 수준의 설정 파일을 가리킨다. .htaccess의 원래 목적은 이름에도 나와 있듯이 디렉터리 당 접근 제어를 허용하는 것이다. 이를테면 콘텐츠 접근을 위해 암호를 요구하는 식이다. 그러나 오늘날 [...]